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헤르만 에빙하우스(Hermann Ebbinghaus, 1850년 1월 24일~1909년 2월 26일)는 독일의 심리학자였다. 그는 기억과 망각에 대한 실험 연구 분야의 선구자였으며 실험 심리학의 선구자로 여겨지는 학자 중 한 명이다. 그는 역사, 언어학, 철학, 심리학을 공부했고 베를린 대학교, 브레슬라우 대학교, 할레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기계적 학습과 기억 측정의 실험적 방법을 개척한 그의 연구는 과학적 방법이 그때까지의 대중적 견해와 달리 고차 사고 과정의 연구에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1890년에 그와 물리학자 아르투르 쾨닉은 The Journal of Psychology and Physiology of the Sensory Institution이라는 정기 간행물을 출판했습니다. 광학적 환상에 대한 연구를 통해 어떤 광학적 환상이 발견되었고, 이는 또한 The Ebbinghaus illusion으로 소개되었습니다. 그는 1897년에 그의 유명한 책인 The Principle of Psychology(1902)의 첫 번째 부분을 출판했고 An Overview of Psychology(1908)를 썼습니다.

    그는 기억에 대한 연구를 통해 망각 곡선이 존재한다는 가설을 세웠고 분산 학습이 기억을 개선하는 데 더 효율적이라는 갭 효과를 발견하여 1885년에 이를 발표했다. 기억과 망각에 대한 연구를 시작한 이유는 구스타프 페흐너의 심리 물리학의 영향을 받았다. 에빙하우스의 연구는 이후 기억과 학습 연구의 원형으로 크게 기여했으며 심리학이 철학과 별개로 과학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분야로 자리 잡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에빙하우스는 프로이센 왕국의 한 지방인 바르멘에서 부유한 상인인 칼 에빙하우스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9년제 중등 교육기관인 김나지움에서 학업을 마친 후, 그는 1867년 본 대학교에서 역사와 언어학을 공부했고, 철학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1870년 보불 전쟁에 참전하면서 학업을 잠시 중단했지만, 학교로 돌아온 후 1873년 8월 16일 23세의 나이에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그는 심리 물리학의 창시자로 알려진 구스타프 페흐너가 쓴 "Elementer Psychophysik"을 읽고 베를린 대학교에서 심리학을 공부했습니다.

    1879년에 기억 실험이 시작되었고 그 결과 망각 곡선 가설과 갭 효과를 발견했으며, 1885년에 연구 결과를 알리기 위해 "기억에 관하여(On Memory)"라는 책으로 출판되었습니다. 같은 해에 그는 베를린 대학교의 교수가 되어 그곳에 두 개의 심리학 연구실을 설립하고 학술지를 발표했습니다. 1894년에 그는 브레슬라우 대학교(현재 폴란드 브로츠와프)로 옮겨 연구실을 설립하고 심리학 실험을 계속했습니다. 할레 대학교로 옮긴 후 교수로 재직 중 59세의 나이로 폐렴으로 사망했습니다.

    1879년, 29세의 나이에 그는 기억과 망각에 대한 연구를 시작하여 6년간 지속했습니다. 그는 기억된 정보가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 그리고 무엇이 망각을 일으키는지 연구했습니다. 그는 이미 망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현상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의 연구 주제는 망각 현상 자체가 아니라 시간에 따른 망각의 정도(망각의 속도)를 측정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실험 연구를 통해 몇 가지 사실을 증명했습니다. 첫째, 망각은 처음 9시간 동안 가장 일찍 발생합니다. 둘째, 망각된 항목은 처음 배운 새로운 항목보다 더 빨리 다시 배울 수 있습니다. 셋째, 의미 있는 것은 무작위적인 의미 없는 것보다 약 10배 더 오래 기억됩니다. 넷째, 더 긴 시간 간격으로 반복 학습하면 학습에 대해 더 오래 기억할 수 있습니다. 다섯째, 단일 배열로 시작하거나 끝나는 항목이 가장 쉽게 기억됩니다. 여섯째, 긴 시간을 사용하여 기억한 데이터는 더 오래 기억됩니다.
    그는 1885년에 ̈ber das Gedächtnis(기억에 관하여)라는 책에서 실험 결과 망각에 대한 가설을 발표했습니다. 이 책은 나중에 영어로 번역되어 Memory: A Contribution to Experimental Psychology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습니다.

    그의 실험 연구에서는 당시 학습 동기가 잘 부여된 적합한 피험자를 찾기 어려웠기 때문에 스스로 피험자가 될 수밖에 없었습니다. 또한 의미가 더 잘 기억된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WID"와 "ZOF"와 같이 의미가 없지만 자음 두 개와 모음 하나로 구성된 2,300개의 단어 목록을 만들어 의미에 영향을 받지 않는 순수한 기억 흔적을 연구했습니다.
    그리고 극히 간단한 기계적 암기 학습을 수행한 후 이 목록을 순서대로 기억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조사했습니다. [8] 그는 추가적인 암기학습 없이 실시한 암기검사 결과에 따른 그래프를 만들어냈는데, 이를 '보유곡선(retention curve)'이라 명명했다. 하지만 현대에 와서는 '망각곡선(forgetting curve)'이라 불리며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 만든 '소멸곡선 가설'에 따르면 망각의 양은 10분 후에 발생하기 시작하고, 20분 이내에 가장 빠르게 발생하며, 42%는 망각되고, 1시간 후에는 56%, 1일 후에는 67%, 1개월 후에는 초기 학습 내용의 79%가 망각된다.
    에빙하우스는 망각 곡선 연구에서 과학습의 영향을 알아냈다. 요소를 기억하는 데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작업을 하면 기본적으로 과학습에 도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복 학습을 통해 더 이상 정보가 손실되지 않았고, 반복적으로 학습된 요소의 망각 곡선은 안정적이었다. 또한 요소의 난이도와 스트레스, 수면, 생리적 요인 등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했다. 그는 기본 망각의 속도는 개인마다 약간씩 다르다는 가설을 세웠고, 이러한 차이는 연관 기호를 표현하는 능력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

    또한 그는 기초 교육과 연관적 수화 기술로 차이를 극복할 수 있다고 가정했고, 이것이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그의 전제는 다음 반복이 필요하기 전에 학습의 각 반복(최초 반복은 거의 완벽한 보존을 위해 며칠 내에 필요할 수 있지만 수년 후에 수행될 수 있음)이 최적의 학습 간격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두 가지 가설 원래의 확실한 학습에 대한 망각은 이후의 연구에 의해 느리게 진행된다는 가설도 제안되었다.
    에빙하우스는 또한 망각 곡선을 기반으로 반복 학습의 최적 타이밍을 제안했다. 10분 후에 반복하면 1일 동안 기억되고, 1일 후에 반복하면 1주일 동안 기억되고, 1주일 후에 반복하면 1개월 동안 기억되고, 1개월 후에 반복하면 6개월 이상 기억된다. 또한 정보 기억을 처음 만들 때 주의를 기울이고 이해를 통해 저장하는 데 가능한 한 오랜 시간을 할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반응형